셜대학원 - 범어3-공지사항

RSA 키 (1024)


-----BEGIN PUBLIC KEY----- MIGfMA0GCSqGSIb3DQEBAQUAA4GNADCBiQKBgQCj8SNhJgyWerboy2hc3R+SW/Bo c92p4UmLf/FEZaxgKlJIBCgUT5jslEDuLblOM3fB7YCkEh7F/3NIWST2JIRz4lYZ 8WBmz/QXXlTGP6TG2LKy7PQeRSHRGqKAK9a6c0fD6puopDNCGbti8oj1lGfF2rmW j+zVw8XjDtIRi9EFTwIDAQAB -----END PUBLIC KEY-----

ID 비밀번호 AUTO







 
작성일 : 2010-12-02 18:42 / 조회 : 6,488
개정된 고교 과학교육과정 소개

1.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가 바뀌었다면서요?

 

 2009년 12월 발표된 고등부 개정 과학 교육과정은 그 구성면이나 내용면에서 2007년 발표된 교육과정과 매우 큰 차이를 보입니다.

 

 ▪ 차이점 ①  기존 고1 과학이 ‘통합과학’으로 바뀌면서 교과 내용이 전면 개편되었습니다. ‘통합과학’은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교과목입니다. 말 그대로 교양의 성격이 매우 강합니다. 따라서 통합과학의 주제만 보고 내용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 짐작은 틀렸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곧 나오게 될 교과서를 확인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일부 출판사에서는 통합과학 문제집을 이미 출간하였으므로 이를 통해서도 ‘통합과학’의 수준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차이점 ②
  국민 공통 교육 과정이 9년으로 축소되면서 ‘통합과학’을 포함한 고등부 9개 과학과목이 모두 선택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는 학교에서 내용도 생소하고 수능 교과목도 아닌 ‘통합과학’을 굳이 학생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예전의 ‘고1과학’은 국민 공통 교육 과정이라서 고1이면 누구나 배워야 했지만, ‘통합과학’은 선택이므로 학교에서 안 가르쳐도 된다는 뜻입니다. 실제 대구의 주요 고등학교에 문의한 결과 통합과학이 ‘수능에 들어가지 않는 과목’이고 ‘내용이 별로’이기 때문에 2012년 이후에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배우는 일이 적을 것이라 답변했습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통합과학 대신,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과학 커리큘럼을 운영할 계획이라고도 하였습니다.

 

 당장 2011년에는 개정 순서에 따라 제작될 교과서가 통합과학 뿐이므로, 거의 모든 고1이 통합과학을 배울 것입니다. 하지만 교양의 성격이 강하여 내용에 따른 문제를 제대로 다루려면 난이도가 굉장히 높아집니다. 따라서 실제 내신에는 암기위주의 단순한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개정된 교육과정의 본래 의도대로 통합과학을 배움으로써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게 한다는 취지는 좋은 발상입니다. 그러나 3년 뒤에 있을 수능을 준비해야 할 학생들에게, 아직까지는 그 좋은 취지보다 실정에 맞는 교육이 우선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2. 정규반 H1 과정에서 지금까지 고1과학(공통과학)을 배웠는데, 통합과학으로 바뀌면 어떻게 되나요?

 

 2010년 셜대 정규반 H1과정 과학 커리큘럼은 교육과정 개정 전의 ‘고1과학’을 공부하였습니다. 개정 전의 ‘고1과학’은 수능 과학탐구의 주요 교과목인 물리1, 화학1, 생물1, 지구과학1의 내용을 일부 발췌해서 구성된 교과서입니다. 셜대에서는 그 중에서도 물리와 화학 부분을 중점적으로 수업하였으며 이는 수능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H1과학을 수강한 학생들은 고교 진학 후 본격적인 물리1, 화학1 등을 공부할 때 더 쉽게 공부할 수 있는 기본기를 갖춘 셈입니다.

 

‘통합과학’은 배우지 않았더라도, 1번 질문의 답처럼 활용도가 매우 적을 것이므로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이용약관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보호정책 |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지침 | 채용사이트   © SMPSCHOOL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천로 131 2,3층 범어3 셜대학원 (등록번호 : 제3791호)  T.  053-756-4848  F. 053-756-4877